본문 바로가기
중고 전자기기 수출입

중고 전자제품 HS코드

by 일무 2025. 7. 15.

저도 예전에는 그냥 ‘노트북이면 노트북이지, HS코드까지 알아야 해?’ 하고 넘겼었어요.
그런데 막상 수출신고를 하려니까 "HS코드가 뭐에요?" 라는 칸에서 막혀버리더라고요.


잘못 입력하면 과도한 세금이 나오거나, 폐기물로 오해받아 반출 자체가 막히기도 해요.

그래서 그때부터는 전자기기별로 자주 쓰는 중고 전자제품 HS코드 리스트를 따로 정리해두고 있어요.

 

오늘은 여러분도 바로 써먹을 수 있게
중고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이어폰, TV, 프린터, 게임기 등
전자제품들의 대표 HS코드 & 간단 설명까지 쏙쏙 정리해드릴게요!


🔍 자주 사용하는 중고 전자제품 HS코드 TOP10

노트북 8471.30 휴대용 자동자료처리기기 0%
데스크탑 본체 8471.50 자동자료처리기기의 기타 기기 0%
태블릿PC 8471.30 노트북과 동일 분류 0%
스마트폰 8517.12 휴대용 전화기 (셀룰러) 0%
기본형 휴대폰 (2G 등) 8517.18 셀룰러 이외의 전화기 8%
블루투스 이어폰 8518.30 헤드폰, 이어폰류 8%
TV (LCD 등) 8528.72 크기 34인치 이상 디스플레이 장치 8%
모니터 8528.52 컴퓨터용 화면 장치 0~8%
프린터 8443.31 잉크젯/레이저 프린터 0%
게임기 (예: PS, XBOX) 9504.50 비디오게임기기 8%
 

💡 위 코드는 새제품과 중고제품 공통이며, 중고일 경우 ‘Used’로 명시하면 됩니다.
💡 FTA 협정 대상 국가 수입 시 관세 면제 가능 (중국, 미국 등)


✅ HS코드 입력 시 주의사항

  1. Used(중고) 여부를 인보이스 및 수출입신고서에 꼭 기재
  2. 제품명은 너무 일반화하지 말고 구체적 모델명 + 상태 표기
    • 예: "Used Samsung Galaxy S20, fully functional, for reuse"
  3. **부품용(PARTS ONLY)**일 경우 "for parts only, not functioning"이라고 표시
  4. 중고라도 HS코드는 '신제품과 동일한 코드' 사용합니다 (단, 상태만 명시)

✅ HS코드 조회 방법 (직접 찾고 싶을 때)

  1. 관세청 유니패스 품목분류포털 접속
  2. 상단 '품목분류' → '품목분류사전' 클릭
  3. 검색창에 ‘노트북’, ‘스마트폰’, ‘헤드폰’ 등 입력
  4. 관련 HS코드 및 설명 확인 가능

✅ 결론 : HS코드 하나로 수출입 리스크가 줄어듭니다

전자기기 수출·수입은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HS코드를 잘못 기재하면 세관 보류, 과세, 폐기물 분류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이 글에서 정리해드린 대표 전자제품 HS코드 리스트만 기억해두셔도
1인 무역부터, 전자기기 소규모 수출입 비즈니스까지 훨씬 안전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