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고 전자기기 수출입

중고 전자제품 수출 관세 계산법

by 일무 2025. 7. 17.

제가 처음 스마트폰을 중고로 해외에 팔았을 때,
“수출인데 무슨 세금이 있어?” 하고 넘겼다가,
바이어 쪽 세관에서 관세 폭탄 맞고 환불 요청 받았던 적이 있어요 ㅠㅠ

 

그 이후로는 무조건

  1. 내가 내야 할 세금
  2. 바이어가 내야 할 세금
  3. 관세 계산 기준
    이 3가지를 철저하게 따져보고 발송합니다.

이 글에서는 중고 전자제품을 수출할 때 필요한 '관세 계산 방식',
수출자와 수입자 각각의 세금 부담, 면세 기준까지 완벽히 알려드릴게요.


🔍 자주 묻는 질문 TOP5

  1. 중고 전자기기 수출할 때 한국에서 관세 내야 하나요?
  2. 바이어(수입국)는 어떤 세금을 내나요?
  3. 관세 계산은 어떤 기준으로 하나요?
  4. HS코드에 따라 세율이 다른가요?
  5. 관세 줄이는 방법도 있나요?

✅ 1. 수출자(한국) 기준 – 관세 없음, 부가세 0%

한국에서 중고 전자기기를 수출할 때,
수출자는 관세도, 부가세도 없습니다.

관세 ❌ 없음 원칙적으로 수출에는 관세 없음
부가가치세 0% (영세율) 부가세 환급 가능 (사업자인 경우)
 

💡 사업자등록 후 수출신고하면, 부가세 환급 신청도 가능해요!
💡 중고품도 새 제품과 동일하게 영세율 적용됩니다.


✅ 2. 바이어(수입국) 기준 – 관세 + 부가세 부과 가능

바이어가 있는 수입국에서는 중고품이라도 세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세금은 "과세가격(CIF 기준)"에 세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 3. 관세 계산 공식 (수입국 기준)

과세가격 (CIF) × 관세율 = 관세액

(과세가격 + 관세) × 부가세율 = 부가세액


🧮 예시: 중고 노트북을 필리핀에 수출할 경우

  • 제품 가격: $100
  • 운송비: $20
  • 보험료: $5
  • 총 CIF: $125
  • 필리핀 노트북 관세율: 0%
  • 부가세: 12%

관세 = $125 × 0% = $0
부가세 = ($125 + $0) × 12% = $15
총 세금 = $15

📌 국가별 관세율은 HS코드 기준으로 결정되며, 중고품이라도 동일 HS코드 적용됩니다.


✅ 4. 품목별 HS코드 & 평균 관세율 (국제 기준)

스마트폰 8517.12 0%~10%
노트북 8471.30 대부분 0%
태블릿 8471.30 대부분 0%
이어폰 8518.30 8% 전후
TV/모니터 8528.72 8~12%
게임기 9504.50 5~15%
 

미국, EU, 동남아국가 등은 대부분 0~10%대 관세율


✅ 5. 관세 줄이는 실전 꿀팁

실제 판매가격을 정확히 기재하세요
→ 세관은 시세보다 낮게 쓰면 ‘추가 과세’할 수 있어요.

 

중고품은 "Used for reuse"로 명확히 표기
→ 폐기물로 오해받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FTA 협정국가로 수출 시, 원산지 증명서 제출하면 관세 면제 가능
→ 특히 중국/베트남/미국 등은 적용받기 쉬워요!

 

수출신고서에 HS코드 정확히 입력
→ HS코드 오류로 ‘다른 세율’ 적용될 수 있음


✅ 결론 : 수출자는 세금 부담 없지만, 바이어는 반드시 계산해줘야 합니다!

중고 전자기기를 수출하는 입장에서는


✅ 관세 없음
✅ 부가세 0%
✅ 환급도 가능 (사업자)

 

하지만, 바이어(수입자)는 배송받을 때 관세와 부가세를 따로 내야 한다는 점
꼭 안내해 주셔야 불필요한 분쟁을 막을 수 있어요!

 

💡 송장이나 인보이스에 “Import tax not included – buyer’s responsibility”라는 문구도 함께 넣는 걸 추천드려요.